티스토리 뷰

반응형

 

호텔 이미지

전국 호텔 공급 및 수요 분석 (2023~2025)

개요

한국 호텔산업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충격 이후 공급 확대와 수요 회복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3년 현재 전국 관광숙박업 등록 호텔 수는 약 700여 개로 추산됩니다.

 

호텔 등급별로 보면 2성급 호텔이 약 284개로 가장 많고, 3성급·4성급이 그다음 순이며 5성급 특급호텔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대형 시설로서 전체 객실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는 5성급 호텔만 26개가 운영되어 전국에서 가장 많은 특급호텔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편, 최근 몇 년간 글로벌 체인의 럭셔리 호텔 진출과 기존 호텔의 리노베이션이 활발하여 공급의 질적 고급화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 호텔 공급 현황 (2023~2025)

최근 국내 호텔 공급은 신축 호텔 개장과 기존 호텔의 재정비를 통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1년 이후 엔데믹 전환과 함께 억눌렸던 관광수요를 대비하여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새로운 호텔이 속속 문을 열었습니다.

등급별 공급

특급(5성급) 호텔은 서울·부산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개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들의 한국 시장 진출이 두드러져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약 2,800실 이상의 럭셔리 호텔 객실이 추가 공급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특급호텔 증가는 용산·성수·잠실 등 신흥 부도심까지 범위가 확산되어, 서울 내 여러 권역에서 고급 숙박시설을 접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반면 비즈니스호텔과 중저가 호텔도 여전히 수도권과 관광지 위주로 공급이 늘고 있으나, 공급 속도는 특급에 비해 완만합니다.

 

2~3성급 호텔은 전체 호텔 수의 과반을 차지하며, 해당 세그먼트에서의 신규 공급은 지역 관광수요를 고려해 선택적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지역별 신규 개장

서울은 2023년에도 국내 호텔 공급의 중심지로, 여의도에 페어몬트 앰배서더(2021년 개장) 등을 비롯하여 최근 몇 년간 다수의 신설 호텔이 문을 열었습니다. 강남권에도 안다즈 등 글로벌 브랜드가 진출하며 고급 부티크 호텔의 선택지가 늘었습니다.

 

부산 역시 해운대·동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특급 리조트와 호텔 공급이 확대되었습니다. 최근 개장한 조선호텔 등의 영향으로 부산의 특급호텔 객실수도 증가했습니다.

 

제주는 코로나 시기 내국인 수요 폭증에 대응하여 리조트형 호텔과 풀빌라 등이 크게 늘었으나, 2023년에는 공급 속도가 다소 둔화되었습니다. 이는 팬데믹 기간 급증한 숙소 공급 후 시장 안정화 국면에 접어들었기 때문입니다.

리노베이션 동향

신규 건설 외에 기존 호텔 리노베이션도 활발합니다. 서울 신라호텔, 부산 파라다이스호텔 등 주요 특급호텔들은 객실 및 부대시설 리뉴얼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노후된 비즈니스호텔의 경우 일부는 리브랜딩 하거나 레지던스 형태로 전환하는 움직임도 나타납니다. 이러한 리노베이션은 공급의 질 개선 측면에서 중요하며, 포스트코로나 시대 높아진 고객 기대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호텔 이미지

최근 호텔 수요 동향 (2023~2025)

내국인 여행 수요의 지속과 외국인 관광객의 급증으로 객실 점유율과 객실단가(ADR)가 크게 회복되고 있습니다. 2023년 국내 호텔업계는 내·외국인 수요 증가에 힘입어 코로나 이전 수준에 근접한 실적을 보였습니다.

외국인 관광객 수요 회복

2023년 방한 외래 관광객은 약 1,103만 명으로 전년 대비 +244.9% 폭증하며 팬데믹 이전의 63% 수준까지 회복되었습니다. 일본과 동남아 지역 방문 증가, 미국·프랑스 등 일부 국가는 2019년 대비 방문객 수 100% 이상 회복했습니다. 중국은 방역 해제 지연으로 33% 수준이었으나, 2024년부터 본격적인 반등이 예상됩니다.

내국인 관광 및 레저 수요

2023년에도 내국인 숙박 수요는 견조한 흐름을 보이며 국내 숙박업 온라인 판매액이 약 25% 증가했습니다. 특히 호텔·리조트 등 전통 숙박시설의 인기가 상승하여 객실 가동률을 견인했습니다.

비즈니스·MICE 수요 회복

국내외 기업 출장과 국제회의 개최도 정상화되어 주요 특급호텔의 객실점유율이 상승했습니다. 서울과 부산의 국제행사 재개로 MICE 수요가 크게 회복되었습니다.

결론 및 시사점

한국 호텔산업은 2023~2025년 사이 팬데믹 충격에서 벗어나 공급과 수요 양면에서 성장 국면에 진입했습니다.

공급과 수요 증가세는 2026~2028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며, 호텔 업계는 서비스 고급화와 차별화를 통해 수익성을 높여야 합니다. 정부의 관광 활성화 정책도 지속가능한 호텔산업 성장을 뒷받침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